성인 이름에 담긴 뜻
에울로지오 外
이석규 베드로 자유기고가

352. 에울로지오(Eulogius) / 축일 3월 11일
그리스어로 ‘분별 있는, 조리 있는’이란 뜻의 에울로고스(eulogos) 또는 ‘칭송, 찬사’란 뜻의 에울로기아(eulogia)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9세기의 성 에울로지오는 스페인 코르도바의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이슬람교를 믿는 무어인들이 지배하던 코르도바에서 성인의 집안은 당국에 추가 세금을 내면서도 그리스도교 신앙을 지켰다. 성인은 성경에 대한 지식이 뛰어났고 기도를 많이 하는 사제였다. 무어인들이 그리스도인을 탄압하기 시작하자, 성인은 신앙인들을 보호하고 변호하다가 잡혀서 채찍질을 당한 뒤 처형되었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에블로기(Evlogi), 예플로기(Yevlogiy), 에울로히오(Eulogio)

353. 에제키엘(Ezekiel) / 축일 7월 23일
히브리어로 ‘하느님께서 강하게 하실 것이다’라는 뜻의 예헤즈켈(Yeḥezqel)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구약성경 에제키엘서의 저자인 성인은 기원전 6세기 유다 왕국이 멸망하기 직전에 바빌론으로 끌려갔다. 환시를 본 후 예언자로서 20여 년 동안 안타깝고 애타는 심정으로 하느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심지어 유다 왕국의 멸망까지 예고하며 마음이 완고한 이스라엘 사람들을 회개시키려 애썼다. 이를 위해 풍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공부도 게을리하지 않으며 악인에게는 악을 버리고 돌아서라고, 의인에게는 죄를 짓지 말라고 꾸준히 경고했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헤세키엘(Hesekiel), 예제키엘(Iezekiel), 에제키엘(Ezechiel), 히에제키엘(Hiezecihel), 에제퀴엘(Ezequiel), 하스켈(Haskel)

354. 에즈라(Ezra) / 축일 7월 13일
히브리어로 ‘(하느님의) 도움’이란 뜻이 있는 이름이다. 성인은 구약성경 중 이스라엘 백성이 바빌론으로 끌려간 뒤의 역사를 기록한 에즈라서의 저자다. 성인은 유다인들의 사제요 율법 학자로서 페르시아 왕국의 유다인 담당 기구에서 일하던 중 팔레스티나로 돌아가서 유다인들의 공동체를 다시 이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리하여 1,500명 가량의 유다인들과 많은 성전 봉사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법을 선포하고 이를 의무적으로 지키도록 독려했다. 그리고 민족의 순수성이 계속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다른 민족과의 혼인을 금지했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에스드라스(Esdras), 에즈라스(Ezr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