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 에우카리오(Eucharius) / 축일 12월 8일
그리스어로 ‘매우 남성적인’이란 뜻이 있는 에우카레스(Euchare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3세기 독일의 성 에우카리오는 예수님의 제자 72명 한 사람이었다고 전해지는데, 프랑스로 파견되어 갈리아 지방과 알자스 지방에서 많은 이방인을 개종시켰다. 그 뒤 선교지를 독일의 트리어 지방으로 옮겼는데, 그곳에서도 많은 사람에게 복음을 전했다. 그리하여 트리어 일대가 교구로 설정되었고, 성인은 초대 주교로 임명되어 신자들을 보살피다가 선종했다. 한편, 성인이 성 베드로 사도의 제자였다는 이야기도 전해 오는데, 확인된 사실은 아니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에우카리오스(Eucharios)
343. 에우트로피오(Eutropius) / 축일 5월 27일
그리스어로 ‘다재다능한’이란 뜻이 있는 에우트로포스(eutropo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5세기 프랑스의 성 에우트로피오는 마르세유 출신으로 젊었을 때는 무절제한 생활을 했으나 결혼과 함께 새사람이 되었다. 그 뒤 아내와 사별한 성인은 하느님의 섭리로 그 지역의 주교에 의해 성직에 입문하게 되었다. 그리고 오랑주 교구의 주교가 세상을 떠나자 후임 주교로 뽑혔다. 성인은 열심히 사목하며 훌륭한 삶을 살았으며, 그러기에 훗날 성인만큼 뛰어난 이는 당대에 없었다고 기록되며 추앙받기에 이르렀다.
여성형: 에우트로피아(Eutropia)
344. 대 에우티미오(Euthymius the Great) / 축일 1월 20일
그리스어로 ‘마음씨 좋은, 관대한’이란 뜻이 있는 에우티미오스(Euthymio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4세기 아르메니아의 성 대(大) 에우티미오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사제품을 받은 뒤 교구에서 수도원을 관장하는 책임자로 일하다가 수도자가 되었다. 예리코 인근의 동굴에서 은수 생활을 하는 성인 주위로 추종자들이 몰려왔고 아랍인들을 포함한 개종자들이 생겨났다. 이에 예루살렘의 총대주교는 성인을 주교에 임명하고 예루살렘에서 예리코로 가는 길목에 수도원을 지어 주었으며, 성인은 그들에게 설교하며 보살피며 사막에서 살았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에우티미오스(Euthimios, Euthymios), 에우티미오(Eutimio, Eutímio). 예프피미이(Yevfimiy)
여성형: 에우티미아(Euthymia)
345. 에우티키오(Eutychius) / 축일 3월 14일
그리스어로 ‘운이 좋은, 복 받은’이란 뜻이 있는 에우티케스(eutyche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7세기의 성 에우티키오는 로마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로마 제국이 수시로 이슬람의 침공을 받던 시절이었는데, 그리스도교회는 로마 제국과 이슬람 양쪽으로부터 탄압을 받았다. 로마 황제는 신전에 제물 바치기를 거부하는 사람을 무조건 감옥에 가두거나 유배 보냈고, 아랍인들은 그리스도인을 닥치는 대로 죽였다. 이 와중에서 성인은 아랍인들에게 체포되었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포기하라는 강요를 거절하다가 심한 고문 끝에 살해되었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에우티코스(Eutychos), 에우티키오스(Eutychios), 에우티키우스(Eutychius), 에우티코스(Eutych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