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 에스킬(Eskil) / 축일 6월 12일
옛 스칸디나비아어로 ‘신(神)’이란 뜻의 애스(áss)와 ‘가마솥, 투구’란 뜻의 케틸(ketill)이 합쳐져 ‘신의 가마솥’ 또는 ‘신의 투구’란 뜻이 있는 이름이다. 11세기의 잉글랜드 출신의 성 에스킬은 스웨덴의 사도로 불리는 성 지그프리드와 함께 스웨덴으로 가서 복음을 전했다. 복음 선포에 헌신하던 성인은 어느 날 우상 숭배 축제를 반대하다가 흥분한 군중이 던진 돌에 맞아 순교했다. 훗날 성인이 순교한 지역의 사람들은 그리스도교로 개종했고, 성인이 선교하던 지역은 오늘날 성인의 이름을 따서 에스킬스투나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에스코(Esko), 애스케틸(Ásketill), 타스킬(Taskill), 타스갈(Tasgall)
337. 에스테르(Esther) / 축일 7월 1일
히브리어 이름 에스테르(ʾEsṯer)에서 유래하며 ‘별’이라는 뜻이 있다. 구약성경 에스테르기에 나오는 성녀 에스테르는 예루살렘 멸망 후 바빌론으로 잡혀 온 유다인으로,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의 왕비가 되었다. 성녀는 삼촌 모르도카이와 함께 왕의 호의에 힘입어 유다인들을 적대시하고 절멸시키려던 하만의 간계를 물리치고 동족을 구해냈다. 그리하여 유다인들은 근심과 애도가 예정됐던 날을 서로 음식을 나누고 가난한 이들에게 선물을 주는 기쁨과 경축의 날(푸림절)로 지내게 되었다.
언어권에 따른 표기 또는 변형: 에스테르(Ester), 에스테리(Esteri), 에스테라(Estera), 에스피르(Esfir) 예스피르(Yesfir)
약칭 또는 애칭: 에시(Essie), 에스타(Esta), 에스티(Esti, Estee)
338. 에우그라포(Eugraphus) / 축일 12월 10일
그리스어로 ‘좋은, 잘’이란 뜻의 에우(eu)와 ‘글로 쓰인 것’(또는 ‘그려진 것)이란 뜻의 그라포스(graphos)가 합쳐져 ‘잘 쓰인’(또는 ‘잘 그려진’)이란 뜻이 있는 이름이다. 4세기의 성 에우그라포는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분쟁을 끝내고 평화를 정착시키라는 로마 황제의 명을 받은 성 멘나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으로 복음도 선포했다. 그러다가 체포되어 눈과 혀를 뽑고 발가죽을 벗기는 형벌을 받았다. 그러나 이튿날이면 모든 상처가 아물었다. 황제는 계속 고문을 가했고, 성인들은 번번이 치유되는 기적을 보인 끝에 결국 참수형으로 순교했다.